덴버 너기츠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1D1D1D,#e2e2e2 ||<-6><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1d428a><width=100%><:>[[NBA/동부 컨퍼런스|[[파일:NBA Eastern Conference 다크 로고.png|width=50]] '''{{{#ffffff 동부}}}''']] || ||<bgcolor=#000081><width=12%> [[NBA/애틀랜틱 디비전|{{{#ffffff '''애틀랜틱'''}}}]] ||<width=18%> [[보스턴 셀틱스|[[파일:보스턴 셀틱스 심볼.svg|height=35]]]] ||<width=18%> [[뉴욕 닉스|[[파일:뉴욕 닉스 심볼.svg|height=35]]]] ||<width=18%> [[필라델피아 세븐티식서스|[[파일:Philadelphia 76ers logo November 2, 2022.png|height=35]]]] ||<width=18%> [[브루클린 네츠|[[파일:브루클린 네츠 심볼.svg|height=35]]]] ||<width=18%> [[토론토 랩터스|[[파일:xRXyfP6.png|height=35]]]] || ||<bgcolor=#9dd7ef> [[NBA/센트럴 디비전|{{{#ffffff '''센트럴'''}}}]] || [[디트로이트 피스톤즈|[[파일:Detroit_pistons-alternate-2018.png|height=35]]]] || [[시카고 불스|[[파일:시카고 불스 심볼.svg|height=35]]]] || [[인디애나 페이서스|[[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심볼.svg|height=35]]]] || [[밀워키 벅스|[[파일:밀워키 벅스 로고.svg|height=40]]]] ||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파일:CLE_alternate_2018.png|height=38]]]] || ||<bgcolor=#400080> [[NBA/사우스이스트 디비전|{{{#ffffff '''사우스이스트'''}}}]] || [[애틀랜타 호크스|[[파일:애틀랜타 호크스 심볼.svg|height=35]]]] || [[워싱턴 위저즈|[[파일:09GUcRU.png|height=35]]]] || [[마이애미 히트|[[파일:마이애미 히트 앰블럼.jpg|height=35]]]] || [[샬럿 호네츠|[[파일:CHA_Alt_Emblem.png|height=40]]]] || [[올랜도 매직|[[파일:DFadyMR.png|height=25]]]] || ||<-6><bgcolor=#c8102e><:> [[NBA/서부 컨퍼런스|[[파일:NBA Western Conference 다크 로고.png|width=50]] '''{{{#ffffff 서부}}}''']] || ||<bgcolor=#ffd500> [[NBA/사우스웨스트 디비전|{{{#ffffff '''사우스웨스트'''}}}]] || [[샌안토니오 스퍼스|[[파일:ucgAHim.gif|height=35]]]] || [[휴스턴 로키츠|[[파일:XyABh6f.png|height=35]]]] || [[댈러스 매버릭스|[[파일:external/s20.postimg.org/LVYc_Su8.png|height=35]]]] || [[멤피스 그리즐리스|[[파일:멤피스 그리즐리스 심볼.svg|height=35]]]] || [[뉴올리언스 펠리컨스|[[파일:iirbLL9.png|height=35]]]] || ||<bgcolor=#ff6600> [[NBA/노스웨스트 디비전|{{{#ffffff '''노스웨스트'''}}}]] || [[덴버 너기츠|[[파일:Denver_Nuggets_alternate.png|height=35]]]] ||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파일:POR_Alt_Symbol.png|height=35]]]] || [[유타 재즈|[[파일:Utah_Jazz_Alternate_Logo_2022.png|height=28]]]] || [[미네소타 팀버울브스|[[파일:external/s20.postimg.org/NBA_MIN_alt_logo.png|height=33]]]]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파일:Vno8rmI.png|height=25]]]] || ||<bgcolor=#ff0015> [[NBA/퍼시픽 디비전|{{{#ffffff '''퍼시픽'''}}}]] || [[새크라멘토 킹스|[[파일:external/oi64.tinypic.com/34694b8.png|height=35]]]] ||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파일: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 심볼.svg|height=35]]]]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파일: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심볼.svg|height=32]]]] ||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파일:external/oi67.tinypic.com/2duw48.png|height=35]]]] || [[피닉스 선즈|[[파일:PHX_Alternate_Logo.png|height=35]]]] ||




파일:Kroenke_Sports.p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width=170>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width=170> 파일:Rams_Logo_2020.png ||<width=170> 파일:Denver_nuggets_2019.png ||<width=170> 파일:1257px-Colorado_Avalanche_logo.svg.png ||<width=170> 파일:Colorado_Rapids_Crest.png ||
||<rowbgcolor=#e6e6e6,#191919> 아스날 FC || 로스앤젤레스 램스 || 덴버 너기츠 || 콜로라도 애벌랜치 || 콜로라도 래피즈 ||
||<width=170> 파일:220px-Coloradomammothlogo.svg.png ||<width=170>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width=170>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 ||<width=170> 파일:LA 게릴라즈 로고.png || 파일:Sentinels.png ||
||<rowbgcolor=#e6e6e6,#191919> 콜로라도 맘모스 || 아스날 WFC || LA 글래디에이터즈 || 로스앤젤레스 게릴라즈 || Sentinels ||




파일:Denver_nuggets_2019.png
덴버 너기츠
Denver Nuggets
창단1967년(57주년)[1]
NBA 가입1976년(48주년)
연고지콜로라도 주 덴버
컨퍼런스서부 컨퍼런스 (1976~)
디비전미드웨스트 디비전 (1976~2004)
노스웨스트 디비전 (2004~)
연고지 변천덴버 (1967~)
구단명 변천덴버 로키츠 (1967~1974)
덴버 너기츠 (1974~)
홈 경기장덴버 오디토리움 아레나 (Denver Auditorium Arena, 1967~1975)
덴버 콜리시엄 (Denver Coliseum, 1967~1970)
맥니콜스 스포츠 아레나 (McNichols Sports Arena, 1975~1999)[2]
볼 아레나 (Ball Arena, 1999~)[3][4]
저지 스폰서웨스턴 유니온 (Western Union)
구단주조쉬 크랑키 (Josh Kroenke)[5]
단장켈빈 부스 (Calvin Booth)
감독마이클 말론 (Michael Malone)
G 리그 제휴그랜드래피즈 골드 (Grand Rapids Gold)[6]
로컬 경기 중계Altitude Sports[7]
약칭DEN
홈페이지파일:Denver_Nuggets_alternate.png
공식 SNS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우승 기록
NBA 파이널 우승
(1회)
2023
컨퍼런스 우승
(1회)
2023
디비전 우승
(10회 / 최다 우승)
1977, 1978, 1985, 1988, 2006, 2009, 2010, 2019, 2020, 2023
ABA 디비전 우승
(2회)
1970, 1975
프랜차이즈 팀 기록
최고 승률.774 - (1974-75 시즌, 84경기 65승 19패)
최저 승률.134 - (1997-98 시즌, 82경기 11승 71패)
최다 승65승 - (1974-75 시즌, 84경기 65승 19패)
최다 패71패 - (1997-98 시즌, 82경기 11승 71패)
최고 계약$269,990,000 - 2022년 니콜라 요키치
팀 컬러 / 유니폼
[ 펼치기 · 접기 ]
팀컬러
미드나잇 블루 황색 적색 파랑색 흰색
유니폼
파일:너기츠2020어소시에이션.webp파일:너기츠2020아이콘.webp파일:너기츠2020스테이트먼트.webp파일:너기츠2021시티.webp
AssociationIconStatementCity
NBA 파이널 우승 연혁
[ 펼치기 / 접기 ]
1. 개요
4. 현재 선수명단
5. 역대 성적
6. 시티 에디션
7. 마스코트
8. 이모저모
8.1. 덴버 너기츠 선수
8.1.1. 현역
8.1.2. 은퇴/이적
9. G 리그 산하팀
10. 둘러보기 틀



1. 개요[편집]


NBA의 프로농구팀. 서부 컨퍼런스 노스웨스트 디비전 소속. 연고지는 덴버. 원래는 덴버 로키츠로 출발했다가 1974년휴스턴 로키츠와 헷갈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팀명을 지금의 너기츠로 개명했다. 팀명인 너기츠는 금덩어리라는 뜻으로[8] 골드 러시로 인해 생긴 도시인 덴버 시의 역사를 담고 있다. ABA에서 NBA로 넘어 온 4팀[9]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빠른 농구를 구사하는 팀으로 알려져 있다.[10] 고산지대로 알려져 있는 덴버라서 홈구장 이점을 어느 정도 받는 팀. 쿠어스 필드와는 달리 홈구장이 '홈 팀을 알아보기' 때문에 어느 정도 플옵 진출 전력을 갖추면 홈구장 이점을 받아 순위를 쭈욱 끌어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플레이오프에서 이변을 자주 일으키는 도깨비팀이기도 하다.

2023년 NBA 파이널에 진출하면서 덴버시 4대 스포츠팀 중에 마지막으로 결승전에 진출했다.[11] 그리고 3번째로 우승에 성공했다.[12] ABA로 넘어온 팀 중에서는 스퍼스 이후에 두번째 우승에 성공한 팀.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덴버 너기츠/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영구결번[편집]


||
[ 펼치기 · 접기 ]

No. 2No. 12No. 33No. 40No. 44
알렉스 잉글리시
(Alex English)
팻 리버
(Fat Rever)
데이비드 톰슨
(David Thompson)
바이런 벡
(Byron Beck)
댄 이젤
(Dan Issel)
No. 55No. 432
디켐베 무톰보
(Dikembe Mutombo)
덕 모
(Doug Moe)




The Blade 80년대 덴버의 슈퍼스타. 덴버 특유의 공격농구의 선봉장이었다.
80년대 덴버 공격 농구의 일원. 2017년 같은 시대의 멤버들보다는 뒤늦게 영구결번되었다. '가장 저평가된 80년대의 가드'라고 불리며 게리 페이튼과 비슷한 스타일이었다고 한다.
덴버 너기츠 프랜차이즈의 NBA 입성 이후 최초의 슈퍼스타. 마이클 조던이 어린 시절 동경하던 선수로 유명하며, 마이클 조던의 명예의 전당 입성 시 소개문구를 말한 인물이기도 하다.[13]
ABA시대의 프랜차이즈 스타, 참고로 영구결번 선수들 중에서 '덴버 로키츠'의 유니폼을 입어본 유일한 선수다.
알렉스 잉글리시와 콤비를 이룬 덴버의 공격 농구의 일원. 은퇴 이후 덴버의 감독을 맡았고 무톰보와 함께 8번시드의 1번시드 업셋을 이뤄냈다. 덴버의 영구결번 멤버 7명 중 유일하게 우승반지를 하나 가지고 있다. (1975 ABA 챔피언, 켄터키 코널즈)
1990년대 덴버를 지탱한 아프리카 출신의 센터. 리그 역사상 최초의 8번시드의 1번시드 업셋을 이뤄냈다. 무톰보 이전에는 80년대 공격농구의 일원 키키 반더웨이의 등번호였다.
알렉스 잉글리시와 함께 덴버의 공격농구를 이끈 명감독.

너기츠 창단 50주년을 맞아 한 자리에 모인 영구결번들 [14][15]

덴버 너기츠의 명예의 전당자들
번호이름포지션재적년도헌액년도
44댄 이젤파워 포워드1976년-1985년1993년
33데이비드 톰슨슈팅 가드1975년-1982년1996년
2알렉스 잉글리쉬스몰 포워드1980년-1990년1997년
8사루나스 마셜로우니스슈팅 가드1996년-1997년2014년
24스펜서 헤이우드파워 포워드1969년-1970년2015년
55디켐베 무톰보센터1991년-1996년2015년
3앨런 아이버슨슈팅 가드2006년-2009년2016년
30조지 맥기니스파워 포워드/센터1978년-1980년2017년

이외에도 덴버 최초의 우승을 이끈 니콜라 요키치자말 머레이 등도 향후 영구결번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4. 현재 선수명단[편집]



||
[ 펼치기 · 접기 ]

#0c2340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e2240><tablebgcolor=#0e2240><width=20%> '''{{{#fff 코칭스태프}}}''' ||<colbgcolor=#fff> '''
{{{#fff 감독}}}
''' [[마이클 말론|{{{#8b2131 말론}}}]] '''
{{{#fff 코치}}}
''' [[파파이 존스|{{{#8b2131 존스}}}]] · [[데이비드 애덜먼|{{{#8b2131 애덜먼}}}]] · [[엘비스 발카르셀|{{{#8b2131 발카르셀}}}]] · [[라이언 보언|{{{#8b2131 보언}}}]] · [[찰스 클래스크|{{{#8b2131 클래스크}}}]] · [[존 베킷|{{{#8b2131 베킷}}}]] · [[라이언 사운더스|{{{#8b2131 사운더스}}}]] · [[오그넨 스토야코비치|{{{#8b2131 스토야코비치}}}]] || || '''{{{#fff 가드}}}''' || '''{{{#fec524 5}}}''' [[켄타비우스 칼드웰포프|{{{#8b2131 칼드웰포프}}}]] · '''{{{#fec524 7}}}''' [[레지 잭슨(농구선수)|{{{#8b2131 잭슨}}}]] · '''{{{#fec524 21}}}''' [[콜린 길레스피|{{{#8b2131 길레스피}}}]]^^'''{{{#fec524 TW}}}'''^^ · '''{{{#fec524 24}}}''' [[제일런 피켓|{{{#8b2131 피켓}}}]] · '''{{{#fec524 27}}}''' [[자말 머레이|{{{#8b2131 머레이}}}]] || || '''{{{#fff 가드-포워드}}}''' || '''{{{#fec524 0}}}''' [[크리스천 브라운|{{{#8b2131 브라운}}}]] · '''{{{#fec524 8}}}''' [[페이튼 왓슨|{{{#8b2131 왓슨}}}]] · '''{{{#fec524 9}}}''' [[저스틴 할러데이|{{{#8b2131 할러데이}}}]] || || '''{{{#fff 포워드}}}''' || '''{{{#fec524 1}}}''' [[마이클 포터 주니어|{{{#8b2131 포터 Jr.}}}]] · '''{{{#fec524 3}}}''' [[줄리언 스트로더|{{{#8b2131 스트로더}}}]] · '''{{{#fec524 4}}}''' [[헌터 타이슨|{{{#8b2131 타이슨}}}]] · '''{{{#fec524 11}}}''' [[브랙스턴 키|{{{#8b2131 키}}}]]^^'''{{{#fec524 TW}}}'''^^ · '''{{{#fec524 31}}}''' [[블라트코 찬차르|{{{#8b2131 찬차르}}}]] [[파일:부상 아이콘.svg|width=15]] · '''{{{#fec524 50}}}''' [[애런 고든|{{{#8b2131 고든}}}]] || || '''{{{#fff 포워드-센터}}}''' || '''{{{#fec524 22}}}''' [[지크 나지|{{{#8b2131 나지}}}]] || || '''{{{#fff 센터}}}''' || '''{{{#fec524 6}}}''' [[디안드레 조던|{{{#8b2131 조던}}}]] · '''{{{#fec524 15}}}''' [[니콜라 요키치|{{{#8b2131 요키치}}}]] · '''{{{#fec524 34}}}''' [[제이 허프|{{{#8b2131 허프}}}]]^^'''{{{#fec524 TW}}}'''^^ || ||<-2><bgcolor=#fff> * '''TW : 투웨이 계약''' || ||<-2><bgcolor=#0e2240> '''[[틀:NBA 팀별 선수단|{{{-1 {{{#fec524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5. 역대 성적[편집]


­우승
­준우승
­플레이오프 진출
플레이오프 탈락

연도[16]정규시즌 순위[17]플레이오프컨퍼런스팀이름경기수승률
1976-771위/6팀2라운드 진출서부 컨퍼런스덴버 너기츠825032.610
1977-781위/6팀컨퍼런스 파이널 진출824834.585
1978-792위/5팀1라운드 진출824735.573
1979-803위/5팀탈락823052.366
1980-814위/6팀탈락823745.451
1981-822위/6팀1라운드 진출824636.561
1982-832위/6팀2라운드 진출824537.549
1983-843위/6팀1라운드 진출823844.463
1984-851위/6팀컨퍼런스 파이널 진출825230.634
1985-862위/6팀2라운드 진출824735.573
1986-874위/6팀1라운드 진출823745.451
1987-881위/6팀2라운드 진출825428.659
1988-893위/6팀1라운드 진출824438.537
1989-904위/7팀1라운드 진출824339.524
1990-917위/7팀탈락822062.244
1991-924위/6팀탈락822458.293
1992-934위/6팀탈락823646.439
1993-944위/6팀2라운드 진출824240.512
1994-954위/6팀1라운드 진출824141.500
1995-964위/7팀탈락823547.427
1996-975위/7팀탈락822161.256
1997-987위/7팀탈락821171.134
1998-996위/7팀탈락501436.280
1999-005위/7팀탈락823547.427
2000-016위/7팀탈락824042.488
2001-026위/7팀탈락822755.329
2002-037위/7팀탈락821765.207
2003-046위/7팀1라운드 진출824339.524
2004-052위/5팀1라운드 진출824933.598
2005-061위/5팀1라운드 진출824438.537
2006-072위/5팀1라운드 진출824537.549
2007-082위/5팀1라운드 진출825032.610
2008-091위/5팀컨퍼런스 파이널 진출825428.659
2009-101위/5팀1라운드 진출825329.646
2010-112위/5팀1라운드 진출825032.610
2011-122위/5팀1라운드 진출663828.576
2012-132위/5팀1라운드 진출825725.695
2013-144위/5팀탈락823646.439
2014-154위/5팀탈락823052.366
2015-1611위/15팀탈락823349.402
2016-179위/15팀탈락824042.488
2017-189위/15팀탈락824636.561
2018-192위/15팀2라운드 진출825428.659
2019-203위/15팀컨퍼런스 파이널 진출734627.630
2020-213위/15팀2라운드 진출724725.653
2021-226위/15팀1라운드 진출824834.585
2022-231위/15팀우승825329.646
NBA 통산 47시즌V1378718971890.501



6. 시티 에디션[편집]


파일:너기츠 2017-18 시티 에디션.jpg파일:너기츠 2018-19 시티 에디션.jpg파일:너기츠 2019-20 시티 에디션.webp파일:너기츠 2020-21 시티 에디션.jpg파일:너기츠 2021-22 시티 에디션.webp파일:너기츠 2022-23 시티 에디션.webp
2017-20182018-20192019-20202020-20212021-20222022-2023
황금 광부무지개무지개 2석양믹스 테이프[18]클래식



7. 마스코트[편집]


파일:20140930__rocky-nuggets-mascot-093014-p1.jpg



덴버 너기츠의 영구결번 디켐베 무톰보에게 굴욕을 당하는 로키
웨스트브룩의 쪼잔함을 응징하는 로키
커리를 뛰어넘는 3점슛을 선보이는 로키

2018-19 시즌을 맞아 유니폼과 팀의 색상이 대폭 바뀌면서 로키도 새단장을 했다.

파일:rocky_nuggets.jpg


8. 이모저모[편집]










8.1. 덴버 너기츠 선수[편집]


영구결번 선수는 ★로 표시


8.1.1. 현역[편집]



8.1.2. 은퇴/이적[편집]




9. G 리그 산하팀[편집]


파일:Grand_Rapids_Gold_logo.svg (1).png
그랜드래피즈 골드
Grand Rapids Gold
설립년도2006년 (18주년)
역사애너하임 아스널 (2006년~2009년)
스프링필드 아머 (2009년~2014년)
그랜드래피즈 드라이브 (2014년~2021년)
그랜드래피즈 골드 (2021년~현재)
감독안드레 밀러 (2022~)
연고지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
컨퍼런스동부 컨퍼런스
홈구장반 엔델 아레나


10. 둘러보기 틀[편집]


파일:external/content.sportslogos.net/5200.gif
||
[ 펼치기 · 접기 ]

#1D1D1D,#e2e2e2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width=25%> [[덴버 너기츠|[[파일:Denver_nuggets_2019.png|width=100]]]] ||<width=25%> [[인디애나 페이서스|[[파일:인디애나 페이서스 로고.svg|width=100]]]] ||<width=25%> [[브루클린 네츠|[[파일:브루클린 네츠 로고.svg|width=100]]]] ||<width=25%> [[샌안토니오 스퍼스|[[파일:385px-San_Antonio_Spurs.svg.png|width=100]]]] || ||<bgcolor=#0e2240> [[덴버 너기츠|{{{#fff 덴버 너기츠}}}]] ||<bgcolor=#002d62> [[인디애나 페이서스|{{{#fff 인디애나 페이서스}}}]] ||<bgcolor=#000> [[브루클린 네츠|{{{#fff 브루클린 네츠*}}}]] ||<bgcolor=#000> [[샌안토니오 스퍼스|{{{#fff 샌안토니오 스퍼스}}}]] || ||<-4> * 합류 당시에는 뉴욕 네츠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06:23:53에 나무위키 덴버 너기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ABA 출범함.[2] NHL 콜로라도 애벌랜치와 공유[3] NHL 콜로라도 애벌랜치와 공유[4] NBA에서도 던전으로 유명한 극악한 홈 구장이다. 과거 던전으로 불렸던 타 구장의 경우 홈 팀의 열광적인 응원, 홈 팀의 강력한 전력이 결합되는 인위적인 던전이라면 볼 아레나는 덴버의 고산지대가 만들어낸 자연적인 던전이라는 것이 차이점. 특히 덴버 선수단이야 한 시즌의 절반을 이곳에서 뛰어서 별 문제가 안되지만(이래서 홈 팀을 알아보는 던전이라고 불린다.) 다른데서 뛰다가 원정을 오는 원정팀들은 4쿼터만 되면 고산병 초기 증상으로 숨도 못쉬고 지치는 모습을 보여준다. 덕분에 덴버는 어느 정도 팀 전력을 갖추면 홈 성적을 앞세워서 플레이오프는 꾸준히 진출해왔다.[5] 1980년 생으로 아버지는 아스날 FC의 구단주로 잘 알려진 스탠 크랑키, 어머니는 월마트의 공동 창업자이자 샘 월튼의 동생 버드 월튼의 딸 앤 월튼 크랑키이다. 스탠 크랑키는 덴버 너기츠, NHL 콜로라도 애벌랜치, MLS 콜로라도 래피즈, NFL 로스앤젤레스 램스, 프리미어 리그 아스날 등을 소유하고 있는데, NFL의 미국 내 타 프로 스포츠 종목 구단 운영 금지 규칙에 따라 램스 외의 미국 내 스포츠 팀을 아들 조쉬 크랑키의 이름으로 운영하고 있다. 실질적인 구단주는 아버지 스탠 크랑키로 보는 것이 맞다. [6] 2021-22 시즌부터 제휴함.[7] 크랑키 스포츠&엔터테인먼트에서 설립한 지역 스포츠 채널. 크랑키 가문이 소유한 너기츠, 애벌랜치, 래피즈 로컬 경기를 중계하며, LA 램스 프리시즌 경기도 제작하고 있다.[8] 작아서 주머니 속에 넣을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의미한다.[9] 덴버 너기츠, 브루클린 네츠, 샌안토니오 스퍼스, 인디애나 페이서스.[10] 90년대의 디켐베 무톰보가 중심이었던 시절을 제외. 91-92 시즌에 무톰보가 데뷔와 동시에 득점 팀내 2위, 리바운드 1위, 블럭 압도적 1위로 팀의 중심이 되었는데 이 때부터 경기 페이스가 리그 7위, 3위, 7위를 할 정도로 빠른 농구를 했다. 다만 득점 효율은 평범한 수준이고 수비가 강했다. 95 시즌부터 팀이 감독 교체를 겪는 등 흔들리던 두 시즌간은 중간 정도의 페이스를 기록.[11] 덴버 브롱코스 1977년, 콜로라도 애벌랜치 1995년, 콜로라도 로키스 2007년[12] 콜로라도 애벌랜치 1995년, 덴버 브롱코스 1997년, 덴버 너게츠 2023년[13] NBA 명예의 전당은 소개문구를 말할 인물을 선정된 선수가 선별하는데, 보통 자신이 가장 존경하는 인물을 고른다. 데이비드 톰슨은 조던의 전화를 받고 "정말 나한테 전화한 거 맞나?"라고 물어봤다고.[14] 이 시기에는 아직 팻 리버가 영구결번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12번은 없다.[15] 너기츠의 영구결번 배너들은 다른 구단들이 유니폼을 형상화한 것과 다르게 심플하게 파랑 바탕에 파랑 글자로 표기되어있다.[16] NBA 참가 연도부터 기재.[17] 디비전 순위가 의미가 없어진 2015-16 시즌부터는 컨퍼런스 순위 기재.[18] 팀의 역대 유니폼에서 특징들을 한 가지씩 가져와서 유니폼을 재디자인했다.[19] 성소수자를 의식해서 그런건 아니고, 원래부터 북미에선 무지개를 6색으로 인식한다. 괜히 레인보우 식스같은 제목이 있는게 아니다.[20] 1위는 70~80년대 매직 존슨 시절의 레이커스, 2위는 80년대 버드 시절의 셀틱스, 3위는 90년대 조던 시절의 불스, 4위는 90년대 샼과 페니 시절의 올랜도 핀스트라이프.[21] 브롱코스에서는 본 밀러, 로키스에서는 놀란 아레나도, 애벌랜치에서는 파트리크 루아.[22] 90년대의 유일한 슈퍼스타 디켐베 무톰보는 최악의 암흑기 속에서도 8시드의 1시드 최초 업셋의 업적을 남겼다.[23] 덴버 출신의 농구선수로 2번이나 덴버에서 트레이드되고 말았다. 2008-09시즌에는 덴버를 20여년만에 컨퍼런스 파이널에 진출시키며 덴버에서 은퇴하고자 했으나 구단은 냉정한 선택을 했다. 천시 빌럽스는 우승을 기록한 피스톤즈에서 영구결번되었다.[24] 기행으로 기억되는 선수지만 기행은 뉴욕 닉스 이적부터 유명해졌고 덴버 시절에는 나름 제정신이었다. 굉장히 멋진 덩크 하이라이트를 남겼다. JR의 덩크[25] 중국리그에서 뛰다온 노답 포인트가드로 유명했던 선수. 2시즌 동안 키워볼려고 애를 쓰다가 뉴욕으로 보내버렸다.

관련 문서